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 4

4. 끝이지 보이지 않는 외래식물의 그늘, 승기천

인천시 남동구와 연수구를 관통해 송도 인근 남동유수지를 거쳐 바다로 흐르는 승기천은 인천의 대표적인 오염 하천이었다. 승기천은 자연형하천 조성 사업 전까지 남동공단의 공장폐수와 생활폐수에 의한 오염물질이 많아 생태계가 죽은 하천이었다. 이에 인천시는 지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총 380여 억 원을 투입해 하도정비와 오염하천정화공사를 실시해 승기천을 '도심지에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으로 되살려 놓았다. 시는 승기천에 자연형 호안, 습지, 여울, 하중도 등을 조성해 생태계를 복원시키고, 시민들을 위해 약 6.2㎞의 자전거도로와 산책로를 조성했다. 그 결과 죽어있던 하천은 어느정도 시민들과 철새가 찾는 자연형 하천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지만 문제는 있다. 당초 계획된 유지용수량이 줄어들어 물의 흐름이 ..

3. 인천의 대표적인 도심 하천, 굴포천

인천 부평구를 가르는 굴포천은 도심 한 가운데를 관통하는 인천의 대표 하천이다. 만월산 부평가족공원 내 칠성약수터가 그 발원으로, 인천 5대 하천 중 그 발원지를 알 수 있는 유일한 하천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천90여억 원를 들여 굴포천 복원 사업을 전개했다. 테마는 '자연과 대화하면서 걷고 싶은 하천'이다. 하천 복원 후 3년이 흘렀다. 굴포천은 지역 주민들에게 분명히 필요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고질적인 수질 악화 문제와 수변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사진제공=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 청천천과 굴포천이 합류되는 지점인 굴포1교 지점 하천은 복원 사업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까맣게 썩어 있었다. 생활 하수와 올해 집중 호우 당..

하천복원 10년 인천 5대 하천을 가다 - 2. 홍수가 무서워 생태를 외면한 나진포천

인천 서구 나진포천은 홍수를 대비하기 위한 수로역할만 하는 반쪽짜리 하천이다. 인천시는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39억 6천만 여원을 들여 나진포천에 대한 정비 사업에 나섰다. 매년 홍수로 인해서구 일대에서 홍수가 되풀이 되면서 시는 나진포천을 치수하천으로 정비하기로 결정했다. 시는 2003년 나진포천 설계를 진행하면서 자연형하천 개념을 도입하는 등 '치수와 생태'를 잡겠다는 설계 도안을 내놓았다. 시의 하천정비 구간은 4.2㎞ 정도였다. 나진포천은 정비 공사 이후 강수량 80년 빈도(최대 계획홍수량 370㎥/sec)로 하천폭 최대 45m, 하상폭 3~4m, 홍수 수위 8~11m의 치수 목적의 하천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나진포천은 자연형 하천이라기보다 하나의 직선 수로에 가깝다. 홍수가 무서워..

1.걸어서 서해까지 인천의 물길, 공촌천

2011년 9월10일 오전 10시, 인천하천탐사팀은 인천시 서구 공촌교장 옆 공촌천 상류에 도착했다. 맑은 하천 속에서 초록색 녹조류가 하늘거렸다. 질산염 등 인근 논밭에서 흘러들어온 영양소가 물속에 녹아들었기 때문이다. 공촌천 옆으로는 파란 창포가 바람에 흔들렸다. 창포는 인천 지역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식물이다. 공촌천네트워크에서 식재해 놓은 게 자연 번식하며 공촌천을 가득 메운 것이다. 공촌천을 따라 조금 내려가니 눈앞 한가득 갈대밭이 나타났다. 공촌천은 빽빽하게 들어선 갈대밭을 굽이굽이 훑으며 흘러 내렸다. 전형적인 자연하천의 모습이다. 갈대밭을 지난 공촌천은 자연정화를 거치며 맑게 변했다. 국립환경조사원 배귀재 박사는 "갈대와 물억새가 자연적으로 형성된 건 자연하천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는 증거..